제75회 거창군의회(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회의록
제6호
거창군의회사무과
일 시 : 2000년12월11일(월)
장 소 : 특별위원회실
의사일정
1. 2001년도세입·세출예산안(계속)
심사된안건
1. 2001년도세입·세출예산안(계속)(군수제출)
0 사회복지과
0 농업기술센터
0 수도사업소
(10시00분 개의)
특별위원회 위원 여러분, 그리고 관계 공무원 여러분 반갑습니다.
희망에 찬 월요일 아침입니다.
다같이 힘차게 나래를 펴고 즐거운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합시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지금부터 제75회 정례회 회기 중 예산결산 특별위원회 제6차 회의를 개의하겠습니다.
제5차 회의에 이어서 오늘도 각 실·과 소장으로부터 2001년도 세입·세출 예산안의 사항별 설명을 듣게 되겠습니다.
오늘은 사회복지과, 그리고 농업기술센터, 수도사업소 순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1. 2001년도세입·세출예산안(계속)(군수제출)
0 사회복지과
제일 먼저 사회복지과장으로부터 2001년도 세입·세출 예산안에 대한 사항별 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사회복지과장, 나오셔서 소관 예산안에 대해서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2001년도 사회복지과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339페이지입니다.
사회복지, 사회보장 총예산이 108억 5,902만 원으로서, 올해보다 기초 생활보장 수급자 생계비 상향지원 등으로 31억 1,884만 2,000원이 증이 되었습니다.
먼저 사회보장 경상예산은 일반수용비가 총 1,029만 8,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페이지입니다.
각종 행사 표창 재료 구입비가 12만 1,000원이 되겠고, 또 운영수당에 있어서는 기초생활 보장위원회 운영 참석 수당이 180만 원이고 급량비로서는 계별 업무 추진 특근에 따른 급량비가 940만 원과 임차료는 현충일 행사 앰프가 15만 원이 되겠습니다.
보훈단체 전적지 순례 버스 임차료가 4대에 따라서 120만 원, 보훈가족 국립묘지 및 전방 전적지 시찰이 12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것은 먼저, 보훈 단체 전적지 순례는 월남 고엽제 전우회라든지, 6.25참전 전우회 단체가 되겠고, 그 밑에 보훈가족은 상이 군인하고, 미망인회 유족회가 되겠습니다.
다음은 여비로서는 2,635만 2,000원이 출장여비로 계상이 되어 있습니다.
각 계별로 계상된 사항입니다.
다음 업무추진비로서는, 400만 원이 사회복지과 내에서 시책업무 추진비가 되겠습니다.
다음페이지입니다.
다음은 재료비가 1,220만 6,000원으로서 먼저 충혼탑내 봉안각 도색 재료비가 16만 원이 되겠습니다.
일시 사역인부임으로 군민기초생활 보장 수급자 지원사업 일시인부임이 689만 7,000원이 되겠고, 또 충혼탑 관리 인부임, 수목전지, 계단보수, 도색인부임이 52만, 6,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일반 보상금 중에 사회보장적 수혜금으로, 생활보호대상자 쓰레기 종량제 봉투 구입비와 장애인 쓰레기 종량제 봉투구입비가 720만 8,000원이 되겠습니다.
민간실비보상금으로서는 2,582만 원이 되겠는데, 현충일 행사에 500만 원, 또 장애인 체육대회 경남 예선 참가 보상에 따른 30만 원, 또 장애인 등반대회 참가가 200만 원, 제 21회 흰 지팡이의 날 도행사 참석에 140만 원, 제6회 장애인 경남 종합 예술제 참가가 1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제7회 중증 장애인 부부 초청대회 참가비, 보훈 가족 국립묘지 및 전방 전적지 견학이 300만 원, 사업예산으로서는 총 64억 9,012만 4,000원이 되겠습니다.
일반보상금으로서 사회보장적 수혜금으로, 국고보조사업의 국·도비 보조에 따른 군비 부담금이 되겠습니다.
먼저 수급자 생계 급여가 47억 430만원, 또 수급자 주거급여가 군비부담이 10%인 7억 5,682만 2,000원, 또 조건부 수급자 지원, 수급자 교육급여, 장애 수당, 장애인 등록 진단비, 장애인 자녀 학비, 장애인 의료비, 재활보조기구 교부가, 각 군비 보조율에 의해서 부담내역입니다.
다음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민간 이전 사업으로서 민간 또는 사회단체에 대한 경상보조가 되겠습니다.
이것은 자활 후견기관 운영비가 총 7,432만 7,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여기에 따른 시설비 및 부대비가 국고보조가 되겠습니다.
자활 공공근로 사업에 1억 9,247만 5,000원이 되겠습니다.
부대비는 여기에 따라서 473만 4,000원이 되겠습니다.
자체사업비로서 총 1억 5,072만 원인데, 민간또는 사회단체경상보조금이, 정액단체 보조금이 되겠습니다.
상이군경회 전몰군경유족회, 다음은 민간 위탁금이 되겠습니다.
2,000만원인데, 장애인 복지 증진대회가 되겠습니다.
이것은 매년 도에서 4월 20일날 장애인의 날을 맞이해서, 장애인 체육대회와 또 군에서 장애인 복지 증진대회를 했습니다.
그래서 내년부터는 도 체육대회를 개최하지 않고, 군에서 전반적으로 개최를 하기 때문에, 2,000만 원 계상이 되었습니다.
시설비 및 부대비가 되겠습니다.
시설비로서는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80개소에 따라서 8,000만 원과 또 재해비품창고 신축 1동이 1,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에는 시설부대비는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에 따른 부대비 72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가정복지 예산이 되겠습니다.
경상예산으로서는 총 2,082만 6,000원인데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일반 수용비가 가정복지 관련에 대한 표창 관계이고, 또 운영수당이 총 202만 원, 임차료가 노인 및 소년가장 도단위 행사 참가자 수송임차료로서 120만 원, 노인의 날 행사 참가자 수송이 210만 원, 민간실비 보상금으로서는 소년소녀가장 세대에 따른 예비부모 교육 보상이 30만 원, 다음에 소년소녀가장 설·추석 맞이 목욕에 따른 72만 원, 어버이날 및 노인의 날 참석보상이 110만 원, 생활보호 노인건강진단 참석보상이, 1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아동위원 도교육보상이 9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사업예산이 되겠습니다.
먼저 41억 1,895만 원이 되겠는데, 일반 보상금으로서 사회 보장적 수혜금이 되겠습니다.
국고 보조사업이 되겠습 니다.
먼저 경로당 운영비가 320개소에 따라서 군비부담이 1억 3,821만 2,000원이고 경로연금이 2억 8,873만 8,000원이 되겠습니다.
소년소녀가장세대 보호비가 767만 6,000원, 가정 위탁 양육비가 106만 원이 되겠습니다.
민간이전에 따른 의료 및 구료비가 국고보조사업으로서, 노인건강 진단비가 150명에 대해서.
총예산이 13억 6,122만 3,000원이 되겠습니다.
먼저 사회보장적 수혜금이 되겠습니다.
노인 교통비 지급이 5,000원씩 해서 65세 이상 전체 노인에 따른, 6억 2,13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에 출연금이 노인복지 기금 출연금이 1억이 되겠습니다.
민간이전은 의료비 및 구료비가 되겠습니다.
구료비로서는 아동보호 피복비 구입이 45만 원, 민간 또는 사회단체에 따른, 경상적 보조가 되겠습니다.
이것이 6,702만 3,000원으로서 모범 경로당 책장 구입비가, 45만 원 화장장려 보조금이 500만 원, 어린이날 행사가 600만 원, 보육시설에 임시강사 인건비가 437만 3,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노인교실 운영이 1개소에 360만 원과 노인의 날 행사 보조가 600만 원과 어버이날 행사보조가 2,860만 원, 노인 게이트볼 대회에, 300만 원 정액보조단체 보조금 대한노인회에 대한 1,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자치단체 이전이 되겠습니다.
4,351만 원으로서 교육기관에 대한 보조금입니다.
결식아동 토·공휴일 중식비 지원이 4,351만 원이 되겠습니다.
시설비 및 부대비로서는 2억 944만 원, 먼저 시설비가 되겠습니다.
어린이 놀이터 보수가 16개소에 800만 원, 가북 공설 공원묘지 공원화 사업 1개소에 2억이 되겠습니다.
여기에 따른 시설부대비는 144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민간자본이전이 되겠습니다.
민간자본보조가 총3억 1,350만 원으로서 마을 회관 및 경로당 신축이 4개소에 2억, 경로당 보수가 20개소에 1억, 경로당 물리치료기 설치를 15개소에 1,35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 물리 치료기는 요즘 노인들이 상당히 선호하고 있는 롤링베드라는 침대로 된 물리치료기가 되겠습니다.
이것이 한 개 180만 원 정도 되는데, 자부담 50%하고, 군비부담 50%해서 15개소 구입할 계획입니다.
다음 민간 대형사업비로서 600만 원, 북상 공설공원묘지 관리비가 300만 원, 가조 공설공원묘지 관리비가 300만 원으로서 6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여성복지 사업이 되겠습니다.
총예산이 6,580만 1,000원이 되겠습니다.
일반 수용비가 366만 3,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페이지, 수용비중에 나의 주장 발표회 및 생활지혜 발표회 원고료가 35만 원, 또 중고품 판매 운영에 따른 경비가 210만 원, 운영수당은 여성주간 교양교육 강사수당이 13만 원, 여성 전통예절 교육이 13만 원, 여성홍보요원 참석수당이 500만 원, 임차료로서 전국 도 여성대회 참가에, 50만 원, 도단위 교육 및 행사 참석 차량임차에 12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일반 보상금으로서 민간에 따른 실비보상금으로서 전국여성대회 참가 150만 원, 가출소녀 선도활동 교육참석에 120만 원, 일일보호소 숙식 및 귀가보상에 100만 원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도 단위 행사참석보상, 여성주간 행사참석보상 150만 원, 전통음식 도축제 행사참석보상 6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사업예산이 되겠습니다.
보조사업으로서 사회보장적 수혜금이 되겠습니다.
먼저 국비보조사업이 1,788만 8,000원이 되겠습니다.
재가, 모자, 부자 가정지원이 되겠습니다.
자체사업이 되겠습니다.
사회보장적 수혜금으로서 1,906만원인데, 모·부자 가정 자녀 학용품비 지원이 640만 원, 교통비, 독거노인 목욕사업전개가 306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자원봉사 사업이 되겠습니다.
사업비 총 2,301만 6,000원이 되겠습니다.
먼저 경상적 경비에서 일반 수용비가 자원봉사 홍보물 제작이 105만 4,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자원봉사 센터 사무용품 구입비가 215만 원, 자원봉사자 자켓 구입이 60만 원, 임차료가 자원봉사 대회를 비롯해 3회에 90만 원이 되겠습니다.
재료비로서는 일시사역인부임이 되겠습니다.
재활용판매 및 푸드뱅크 운영에 따른 689만 7,000원이 되겠습니다.
일반 보상금으로서 민간에 따른 실비 보상금으로서, 자원봉사자 대회 참석자 보상이 200만 원, 우수 자원 봉사자 시상품 구입과 자원봉사자 교육참석 보상이 150만 원, 간병활동 봉사자에 따른 보상이 50만 원이 되겠습니다.
사업예산으로서 보조사업이 되겠습니다.
자산 및 물품 취득비가 되겠습니다.
245만 원으로서 국고보조사업입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푸드뱅크에 따른 사용할 냉장고 구입이 245만 원이 되겠습니다.
자체사업으로서 201만 5,000원인데, 재료비에 이·미용 봉사 재료구입비가 201만 5,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에 위생관리가 되겠습니다.
총 1,184만 원이 되겠습니다.
먼저 일반수용비에 위생에 관한 홍보 제작물이 85만 원, 또 유통식품 유상수거료가 1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일반 보상금 999만 원, 민간실비 보상금으로서 명예감시원 활동 보상이 189만 원, 다음에 기타보상금으로서 810만 원이 되겠습니다.
모범 음식점 쓰레기 규격봉투 구입이 720만 원과 위생관련 위반업소 신고자에 따른 보상금이 9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의료보호.
방금 사회복지과장의 설명을 들으시고, 의문 나는 사항에 대해서 질의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 최영웅 위원님.
342페이지, 중간에 보면, 장애인 체육대회 경남 예선 참가자 보상, 1박2일, 5만 원씩 해서 30만 원, 이렇게 해 놓았는데, 이것이 좀 안 모자랍니까?
그런데, 어떻게 해서 장애인들 체육대회는 1박2일로 해서, 만약 예를 들어서 자치행정과에서는 중앙으로 되어 있는데, 경남 예선 참가자 보상으로 해서 5만 원씩 책정해 놓았는데, 1박2일하면 5만 원씩 너무 안 적습니까? 거기에 대해서 설명해 주십시오.
뒤에 보면 어버이날, 노인의 날 행사 거기도 중앙행사에도 5만 원, 이런 식으로 되고, 장애인들이고 하면 남이 보더라도, 예산 계장님도 여기 계시고, 기획실장님 다 계시는데, 이것은 형평성이 안 맞는 것입니다.
장애인들이 봤을 때, 과장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장애인들이라고 이렇게 해 놓았어요?
그 위에 보면 장애인 예술제 참가 2박3일해서 7만 원해서 10명씩 해서 70만 원 되어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형평성이 없는 것은 맞습니다.
위에 한 번 봐요. 333쪽에 중간쯤 전국장애인 예술제 참가 2박3일, 여기도 7만 원 계상했거던요?
어떤 형평성이 있어야 되는데, 형평성이 없는 것 아닙니까?
346페이지, 제일 위에 보면 자활 후견기관 운영비 1개소해서, 7,432만 7,000원 이것 대상기관은 어디이며, 운영계획에 대해서 설명을 한 번 해 주십시오?
대상은 대체적으로 보면 제조업소라든지, 그런 기관을 정해서, 미취업자들을 수용해서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관이 되겠습니다.
이것이 전 시·군에 한 군데씩, 지금 신설이 되는데, 아직까지 특별한 지침이라든지, 그런 것은 안 내려온 상황입니다.
다음은 353페이지, 사회보장적 수혜금, 노인 교통비 지급, 65세 이상으로 해서, 우리 거창군에 65세 이상이 1만 355명 확정되어 있는 것입니까?
자기들이 인력은 봉사를 하는데, 재료비까지, 학생들이기 때문에 더욱 더, 부담을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저희들이 예산에 계상을 해서 재료비는.
그런데 올해 200만 원 올라 왔는데, 작년에는 어떻게 해서 1,200만 원해서 올해 1,000만 원이 이·미용 봉사재료구입비에 1,000만 원을 감을 했는지, 그것을 물어 보려고 질의를 한 것입니다.
한꺼번에 되어 있어서 그렇게 된 사항입니다.
그러면 작년에 1,000만 원은 누가 먹어도 먹은 것이거던, 이상입니다.
그래서 이 단체가 가는데, 차량비만 저희들이 지원을.
어디 어디 봉투 지원합니까?
실질적으로 364원짜리 구입해서 550가구 3매씩 지원해 주는데 2,800만 원씩 이렇게 들어가요?
그 뒤에 보면 모범 음식점에도 지금 720만 원이 들어가요.
쓰레기 봉투 3매씩 주고, 자기들 받는 것은 실제적으로 돈 364원짜리 3개 받는데, 이런 것은 정말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일단 금액은 얼마 안 되지만, 지원해 주는 것이 저희들로서는.
347쪽에 재해비축품 창고 신축 1동, 이것 어디 하실겁니까?
지하가 되어서 습기가 차고, 그래서 복지관 뒤에 조금 공터가 있습니다.
거기다가 15평 조립식으로 지을 것입니다.
그래서 지하에는 다른 취미교실을 하려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354쪽에 어버이날 행사 보조, 2,860만 원 책정해 놓았는데, 어버이날 행사 보조 해 주는 것이 몇 군데를 계획을 잡고 있습니까?
상당히 많이 들었는데, 실질적으로 이렇게 해서 안됩니다.
부군수님, 이것 이래가지고 안 되는데.
(웃음 소리)
조금 올려놓고 그것을 올렸다고 하면 됩니까?
실질적으로 읍·면에서 체육행사만큼, 어버이날 행사가 굉장히 힘이 들어요?
의원들도 그렇고 지역에 있는 유지들도 그렇고.
다음에 정액보조단체 보조금, 정액보조단체 보조금은 정액으로 지급되는 줄 알고 있는데, 또 무슨 보조금입니까?
실질적으로 중고품 판매를 해서, 지금 어디어디 사용합니까? 수입은?
그래서 거기에 따른 실비보상입니다.
344페이지에 보면, 사회보장적 수혜금 해서, 수급자 주거급료 2,195가구에 돈이 이 만큼 지급되었는데, 수급자 급료라는 것은 어떤 가구를 말하는 것이며, 그 밑에 45쪽에 보면 조건부 수급자해서 266명해서 6,700만 원 지원을 했는데, 이것은 대상자가 어느 분입니까?
말이 옛날에는 생활보호 대상자가, 지금은 수급자로 법이 바뀌어져 뜻이 바뀌어진 사항입니다.
그러면 여기 수급자는 현재 생활보호대상자 전체가 되겠습니다.
그 대상이 주거비가 2,195가구 세대별로 지원이 되기 때문에.
그래서 이런 분들을 우선 우리가 생계비를 지급을 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고 예를 들어서 가정의 자녀가 병이 다 나았으면, 다시 직장을 갈 수 있는 그런 사람이 대상입니다.
즉 말해서 우선은 조건을 주어 생계비를 지급을 하는 대상이 되겠습니다.
예, 또 다른 위원, 질의 있습니까?
예, 전현옥 위원님.
전현옥 위원입니다.
359페이지에, 독거노인 2회에 한해서 목욕을 시킨다고 했는데, 언제 하는 것입니까?
다음에 355페이지 보면, 경로당 물리 치료기 설치 이것이 어떤 기구입니까?
정 부담이 불가능하면, 1차적으로 예산에 올려져 있는 숫자를 조금 줄여서, 구입하는 방법을 강구를 해 보도록 2가지 방법을 강구를 할 계획입니다.
시골 같은데 노인들이 거기 와서 공짜로 하고 가고 이렇게 하는데, 이 기구가 150만 원 정도, 제가 듣기는 150만 원 정도 그러는데, 그래서 이것이 제가 보기에 문제점은 90만 원을 부담을, 반을 할 수가 있겠느냐 하는 것이고, 이것이 구입처가 대구에 가면, 이런 물리의료기구 도매상이 있어요?
거기는 가면 반값에 살 수 있는 그런 정보를 제가 알고 있는데, 잘 해서 될 수 있는 한, 주민 부담이 없는 걸로 노인들 부담이 없는 걸로, 좀 추진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그 위에 페이지에 보면 354페이지, 아까 이문행 위원이 지적한 어버이날 행사, 5,000원 가지고는 행사라고 할 수가 없습니다.
지금까지도 전부 면단위에 보면, 유지분들이 전부 내고, 이것을 돈 좀 모을 것이라고 사업께나 하는 사람에게 전부 안내장을 내서 이렇게 하고 있어요?
그래서 이런 것은 좀 더 증액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 주시기를 바랍니다. 이상입니다.
복지과장님, 그러면 특별회계로 넘어가셔서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의료보호기금이 되겠습니다.
세외수입이 303만 6,000원으로서 여기는 이자수입이 70만 원, 임시적 세외수입으로서 융자금 회수수입비가 33만 6,000원이 되겠습니다.
기타 수입이 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것은 부당이득금 회수 수입이 되겠습니다.
608페이지 세입이 되겠습니다.
보조금이 총 33억 5,681만 5,000원이 되겠습니다.
먼저 국고보조가 29억 7,557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것은 의료보호진료비가 29억 6,757만 원이 되겠습니다.
도비 보조는 총 3억 8,124만 5,000원이 되겠습니다.
시·도비 보조금에서 의료보호 진료비가 되겠습니다.
세출이 총 33억 5,985만 1,000원이 되겠습니다.
먼저 도비보조사업으로서, 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것은 일반수용비와 공공요금 및 제세 금액이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여비로서 3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것은 국내 여비로서 장기입원환자 확인이라든지, 대불금 부당이득금 납부독촉에 따른 여비가 되겠고, 민간이전으로서는, 국고보조사업으로서 총33억 4,181만 5,000원이 되겠습니다.
융자금으로서는 1,0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민간에 따른 융자금이 되겠습니다.
자체사업으로서는 반환금 및 기타로서 국고 보조금 반환금이 303만 6,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저소득 주민생활안정자금이 되겠습니다.
먼저 세입이 되겠습니다.
세외수입으로서 1억 3,900만 원이 되겠습니다.
경상적 세외수입이 500만 원, 이것은 융자금에 따른 세외수입이 되겠고, 또 임시적 세외수입으로서 1억 3,4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것은 순세계 잉여금 이월금이 7,000만 원, 융자금 회수수입비가 6,400만 원으로서 1억 3,400이 되겠습니다.
여기에 따른 세출이 되겠습니다.
세출도 역시 총1억 3,900만 원인데, 경상적 경비 220만 원, 여비가 되겠고,또 사업예산으로서, 자체사업으로서 민간에 대한 융자금으로서 1억 3,500이 되겠습니다.
예비비는 18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방금 사회복지과장으로부터 특별회계 예산에 대해서 설명을 듣고 난 후에, 의문 나는 사항이 있으시면,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 제일 먼저 최영웅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의료보호기금에 세입부분에 기타잡수입해서 부당이익금 회수, 어떤 걸 부당이익금이라 합니까?
그런데 교통사고가 났는데, 교통사고가 안 난 것처럼 의료보호비로 지급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전부다 치료비를 반환을 하게끔, 독촉을 해서 반환시킵니다.
예비비가 빠졌네요. 세출에.
융자금 국고보조사업으로 해서 의료보호기금 융자를 어디다 해줍니까? 1,000만 원 지금 되어 있는데? 대불금, 610페이지.
이것은 30만 원 이상, 치료비가 나왔을 경우에, 우리가 보호대상자들이 치료비를 일시에 납부를 하지 못할 때, 이것을 분할해서 3개월씩 분할해서, 지급하게끔, 우리가 병원에다가 개인한테 융자를 해 주면, 치료비가 병원으로 다 들어갑니다.
그러면 병원에서 저희들한테, 신청을 하면 진료비가 바로 병원으로 나갑니다.
예, 다음은 종합사회복지관 예산에 대해서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먼저 549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총사업비가 1억 9,942만 원이 되겠습니다.
먼저 이것은 인건비 수당이 1,186만 9,000원이 나가고, 다음에 경상적 경비로서는 일반 수용비가 되겠습니다.
4,478만 1,000원으로서, 일반 수용비는 환경정비 및 화분구입비, 공공요금 제세가 되겠습니다.
다음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일반수용비에도 운영수당이라든지, 급량비, 연료비, 다음에 시설장비 유지비가.
먼저 일반 수용비에 834만 원으로서, 이것은 복지관 홍보물 제작하고, 또 부업훈련 교실기자재 수리비하고, 간단간단하게 말씀 드리겠습니다.
아동 기능교실 재료구입비하고, 노인건강교실 커텐구입, 청소년 독서실 커텐 구입이 되겠고, 556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청소년 독서실 책상, 의자 도색이 되겠고, 운영수당 복지관 강좌 운영수당이 되겠습니다.
재료비로서는 1,352만 원이 되겠는데, 재가복지봉사센터 운영이 1,35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것은 사업으로서, 독거노인 생일찾아주기라든지, 또 김장 서비스 제공, 가전 제품 수리비, 월동대비 재료구입비, 무료 세탁 운영 세재구입비와 다음페이지가 되겠습니다.
도배 및 장판 교체 서비스가 200만 원, 이동 복지관 운영 재료구입비가 20만 원으로서 자체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 자산 취득비는 총 2,280만 원이 되겠습니다.
팩스를 1대 구입을 해야 될 사항이고, 또 교육용 O.H.P 구입이 이것은 환등기 같은 종류입니다.
이것이 150만 원이고, 노인건강 교실 전동 런닝 머신기 구입이 120만 원이고 문화교실 사물놀이 및 기자재 구입비가 3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대 강당 냉·낭방기 구입이 1,470만 원이 되겠습니다.
예방객에 따른 의자가 9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방금 복지과장님의 설명을 들으시고 난 후에, 혹시 의문 나는 사항이 있으시면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질의가 없습니까?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질의가 없으시면, 이것으로서 종합사회복지관 소관 예산과 사회복지과 소관 예산에 대한 질의와 답변을 모두 종결하겠습니다.
사회복지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잠시 휴식을 위하여 정회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5분간 정회를 선포합니다.
(10시57분 회의중지)
(11시07분 계속개의)
0 농업기술센터
다음은 농업기술센터 소장으로부터 농업기술센터 소관 예산에 대한 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소장, 506페이지, 일반보상금부터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저희 농업기술센터 소관 예산, 제안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506페이지입니다.
일반 보상금 전년도 예산액보다 1,039만 원이 증액처리되었습니다.
그것은 새해영농설계 소득작목반 보상과 중앙 도 단위 소득작목 전문기술 교육보상 100만 원, 그리고 전통음식 전시회 출품자 보상 등입니다.
그리고 507페이지입니다.
읍·면 생활 개선회 회의 교육참석보상 300만 원과 5도 5군 4-H회원 화합대회 보상, 그리고 4-H 야영교육, 경진 대회 등, 4-H행사와 농촌지도자 회의 및 교육 그리고 학습단체 회원대회, 그리고 생활개선회 도 및 중앙단위 교육 그리고 고부 한마음대회 보상 등에 사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508페이지입니다.
저희들 보조사업은 국고보조사업으로 해서, 전년도 예산보다도 약136만 원이 줄어들었습니다.
일반수용비에 새해영농설계교육 벼농사 교재제작 등 5개 항목에 644만 원, 운영수당에 농업인 전문교육 강사 수당 130만 원 등 3개항목입니다.
그리고 임차료는 품목별 상설교육, 선진지 견학, 품목별 상설교육은 저희들이 각 작목반을 하나 지정을 해서 연간 4차례의 선진지 교육을 시킵니다.
그 교육을 시키고, 마지막에 선진지 견학가는 것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청소년 전문교육 선진지 견학, 그리고 농가경영 컨설팅 선진농장 견학, 그리고 산학협동 심의회 견학 등에 임차료 300만 원을 사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도비 보조사업은 지도직 공무원 능력개발 지원을 위한, 전문 잡지 구입비 206만 6,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여비는 모두 1,048만 2,000원이 되겠습니다.
먼저 국내여비로서 국고보조사업입니다.
농촌 지도 공무원 능력개발을 위한 550만 원은 지도 공무원에 대한 각종 연구회가 조직이 되어져 있습니다.
그 연구회에 참석하고, 서로 토론하는데, 사용토록 이렇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기초 컨설턴트 교육 및 출장여비 310만 원은 농가 컨설팅에 따른 출장여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경영정보 데이터베이스화 지원여비 24만 8,000원이 되겠습니다.
국외 여비는 국고보조사업으로서 163만 원인데, 이것은 농촌지도사 해외 연수 1명에 대한, 국고보조 연수가 되겠습니다.
511페이지, 재료비입니다.
재료비는 예산액이 2,608만 6,000원으로 전년도보다는 10만 원이 증액이 되어졌습니다.
이것은 우선 국고보조사업은 농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재료구입 등, 3건에 관해서 201만 원이 되겠고, 일시사역 인부임으로서 경영정보 데이터베이스화에 지원사업, 이것은 컴퓨터 입력관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과학영농기술 현장서비스 인부임은 저희 기술센터 내에 있는 모포장이라든지, 거기에 대한 인부임이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512페이지입니다.
일반 보상금은 2,776만 원으로서, 전년도보다 462만 원이 증액된 사항입니다.
국고보조사업으로서 새해영농설계 참석자 보상 그리고 품목별 상설교육 참가자 보상, 청소년 교육 그리고 농기계 교육, 그리고 품목별 농업인 연구모임 등에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513페이지입니다.
민간이전입니다.
민간이전은 예산액이 600만 원으로 전년도보다 300만 원이 증액이 되어졌습니다.
이것은 국고보조사업으로 농촌지도자회와 4-H 후원회, 학교 4-H 활동지원에 대해서 증액이 되어졌는데, 이 증액 되어진 것은 내년에 학교4-H활동에 되어진 것이 금년에 신설이 되어져, 증액이 되어졌습니다.
다음 민간자본 이전입니다.
민간 자본 이전은 2,990만 원으로 전액 전년대비 5,670만 원이 감액이 되었습니다.
우선 민간자본 보조로서, 국고보조사업은 4-H회원 시범영농지원에 대해서, 3개소에 대해서 1,500만 원은 영농 4-H회원에 대해서, 이것은 사업을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 514페이지입니다.
농촌 노인교육 활동 지원은 노인교실 운영 등을 활용을 위해서 200만 원, 그리고 농촌여성 창업 정보화 지원을 위한 컴퓨터 구입 3대, 비용 390만 원이 되겠습니다.
도비보조사업은 900만 원으로서 농촌 노인 생활지도마을 육성에 400만 원, 생활환경 시범마을 육성은 이것은 모두 10개 마을에 대해서, 희망농가 10호를 각각 마을당 10호를 선정을 해서, 농가 잔디마당 및 정원 조성이라든지, 이런데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자산취득비는 6,494만 8,000원으로서 전년보다는 4,494만 8,000원이 증액되어졌습니다.
우선 국고보조사업으로서 농촌지도장비로서 액정비젼구입하는데, 1,500만 원, 그리고 새로운 범용신기종 교육장비 구입에 따른 돈이 1,968만 원이 되겠습니다.
그 내용은 무인방제기, 구굴기, 트랙터 전장, 승용경운기 등이 되겠습니다.
515페이지, 지역특화 신기종 교육장비는 내년에 새로 양파 비닐 자동 정식기가, 금년에 개발되어진 기계입니다.
이것을 교육용으로 구입하고, 제초, 전정목 파쇄기 1대를 구입하고, 또 청소년 정보화 사랑방에 컴퓨터 3대, 그리고 프린트기 1대가 되겠습니다.
다음 516페이지입니다.
저희 경영상담용 휴대용 단말기 구입입니다.
이것은 저희들이 휴대를 해서 농촌 지도를 할 때, 활용코자 2대를 구입해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도비 보조사업으로서 경운기 부착용 S-S방제기 구입은 360만 원을 활용하여 구입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자체사업입니다.
자체사업은 5,461만원으로서 전년보다 1,384만 원이 줄어든 사항입니다.
우선 일반운영비로 일반수용비는 1,301만 원입니다.
여기에 따른 내용은 새해영농설계 교육 교재제작에 1,300만 원, 이것은 과수나 채소, 축산, 특작교재, 농정, 생활개선, 그리고 새해영농 설계교육 현수막 제작에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517페이지, 재료비입니다.
재료비는 1050만 원으로서 전년보다 350만 원이 증액이 되었습니다.
우선 재료비중 내용은 농기계 순회수리 교육용부품을 전년보다 증액해 올해 1,050만 원으로 해서 저희들이 농기계 순회수리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민간이전은 300만 원으로서, 이것은 생활 개선회 운영에 지원해서, 생활개선회가 활성화되는데, 일익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민간자본이전 500만 원은 농촌여성 일감갖기 포장개발 사업으로서, 이것은 웅양에 기 시설된, 저희들 일감갖기 사업장에 포장개발을 위해서 500만 원을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자산취득비 2,310만 원은 지난해보다 1,410만 원이 증액되어졌습니다.
내용은 농업인 교육 TV와 VTR을 구입하기 위해서 160만 원, 그리고 생활과학실습실 정리장 구입에 50만 원, 특히 농민 교육용 장비 구입에 2,100만 원을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장비는 LCD프로젝트와 노트북을 구입하여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기술보급사업입니다.
기술보급사업은 4억, 7,340만 원으로서 전년도 예산보다 7,276만 원이 감액이 되어졌습니다.
주요내용으로서 일반 운영비는 11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것은 국고보조사업으로서 표찰제작이나 병해충방제 홍보물 제작과 그리고 병해충 종합관리교육 강사수당에 110만 원을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재료비 2,186만 2,000원은 이것은 국고보조사업으로서, 사과에 성페르몬 이용, 그리고 사과 초생재배는 저희 포장에 시범적으로 실시해 놓은 것을, 앞으로 농가에 보급시키기 위한 사업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병해충 방제 종합관리 시범사업은 농약을 적게 뿌려서 병해충을 관리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식량작물 우량품종 비교시범, 농작물 생육 및 병해충 관찰포 운영과 그리고 토양정밀검정, 토양환경개선 시범 등에,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일시사역인부임 1,222만 원은 국고보조사업으로서 저희들 병해충 예찰포 운영과 그리고 토양검정에, 그리고 병해충 관찰포 운영에 따른 인부임이 되겠습니다.
다음 521페이지입니다.
일반 보상금 368만 원은 지난해보다 208만 원이 증액되어졌습니다.
이것은 국고보조사업으로서 병해충 종합관리 농업인 교육과 또 토양환경시범평가와 병해충 협의회 운영, 등에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민간자본이전 6,850만 원은 지난해보다 9,010만 원이 감액된 사항입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522페이지, 국고보조사업으로서 6,850만 원에 대한 사업내용은 사과 저수고 밀식과원 시범사업 1개소와 그리고 벼생력재배 선도실천 시범 1개소, 재해상습지, 재래산양 사육시범, 돼지 분뇨 환경오염 방지 시범 등에 활용토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다음 자산 및 물품 취득비는 국고보조사업으로서 종합검정실에 장비구입에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523페이지입니다.
일반운영비 2,396만 원은 지난해보다 729만 원이 증액이 되어졌습니다.
이것은 주요내용은 사과병해충 종합관리를 위한 교육교재 제작과 거창사과발전 협의회 교재, IPM교육훈련 교재 제작 등 각종 교육과 교재 제작에 활용토록 하고, 운영수당은 사과병해충 종합관리 교육에 따른 강사수당과 수출농단작목 및 한우양돈교육 강사수당 등에 활용토록 하고, 임차료로서 수출농산물 생산 선진지 견학 등에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시설장비 유지비 465만 원은 저희들 농작물 병해충 진단실의 미세영상확대기 등 5종에 대한, 장비유지와 검정실, 그리고 예찰장비 질병진단실 장비, 소득작목예찰포 장비 등 각종 저희들 시설물에 대한 장비유지에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525페이지입니다.
연료비입니다.
연료비는 저희들 현재 유리온실과 광폭온실 3연동 온실, 화훼 육묘장이 있습니다.
여기에 따른 면세유를 공급을 받아가지고, 1,168만 원을 들여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재료비입니다.
재료비 9,463만 2,000원은 지난해보다 681만 8,000원이 감액되어졌습니다.
주요재료비로서는 벼우량품종 증식단지, 이것은 내년에 저희들이 문장대라는 품종를 현재 도입을 해서, 또 희망농가에, 증식해서 공급을 할 예정으로 되어져 있습니다.
여기에 따라서 304만 원을 활용토록 하고, 저희들 병해충 진단실 운영과 검정실 운영 그리고 수출 농산물에 따른 병해충 방제연시회와 각종 시범포, 표찰 그리고 저희들 복수박 지주재배 시범사업을 금년도 1개소에서 내년도에는 2개소로 확대를 하고, 또 수출단지 하우스에 연작지 대책 시범포 5개소와 고랭지 채소 대체작목 개발 시범사업에 50만 원을 활용토록 이렇게 하겠습니다.
고랭지 채소 대체작목은 저희들이 양상치, 시금치, 달래 등을 해서 시범재배를 해보고 효과가 좋으면, 앞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다음 527페이지입니다.
고랭지 대체작목 봄양파 시범포는 내년에도 2개소를 운영을 하도록 하고, 수출딸기 고랭지 육묘용 신품종 구입은 조직배양묘 2,000주 정도를 구입을 해서 저희들이 증식을 시켜서 앞으로 수출 지정 농가에 배부토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다음 가축질병 진단실 운영과 합동순회 진료 재료구입입니다.
시약은 항생용, 검사용, 디스크외 18종 정도를 구입을 해서 쓰고 초자기구는 검사용 초자기구를 구입을 해서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관상조류 수출농가에 대한 방역연시재료와 고랭지 무사마귀병, 방제시범포는 5개소를 내년에도 운영토록 하겠습니다.
궁도장 잔디포장관리 재료구입은 비료와 제초제 등 농약을 62만 원치 구입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실증시범포 사과포장은 저희현재 센터 내에 사과포장에 퇴비와 비료 농약구입에 따른 392만 5,000원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가지받침대와 사과 이중봉지 구입도 함께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실증시범포 사과 묘포장은 퇴비 비료, 농약 등을 구입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포도 포장도 마찬가지가 되겠습니다.
다음 사과 지대별 적품종 재배 시범포 운영은 퇴비와 비료를 구입해서 농가에 지원을 해주고, 특히 내년에는 신품종 접수를 구입해서 우리 지역에 맞는지, 다시 검정을 실시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529페이지입니다.
유리온실 작목변경 재료구입입니다.
현재 저희들 유리온실에는 장미가 재배중입니다.
이것은 저희들 군의회에서도 작목을 교체해 보는 것이 좋지 않겠느냐는 그러한 충고가 굉장히 많았습니다.
그래서 이제 내년에는 장미대신 저희들 군특화작목의 사육장으로 시설을 교체를,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거기에 감자 조직배양묘를 넣어 보려고 계획 중에 있습니다.
여기에 따른 시설교체가 되겠습니다.
다음 유리온실 운영입니다.
이것은 아까 감자조직 배양묘라든지, 이것을 순환온실로 활용하는 운영비가 되겠습니다.
다음 광폭온실 운영입니다.
광폭온실, 저희들이 딸기를 한 번 재배하고 복수박을 재배하고 2차 재배를 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따른 운영비가 되겠습니다.
다음 연동온실 운영입니다.
연동온실은 비닐 3연동 하우스로 되어졌는데, 저희들이 금년부터는 봄에는 딸기를 육묘를 해서 우리 수출지정농가에 공급을 하고, 가을철에는 감자 종자를 생산해서 공급하는 체제로 전환을 하겠습니다.
여기에 따른 운영비가 되겠습니다.
다음 530페이지입니다.
실증시범포 정비 관리는 저희들 포장관리에 필요한 소농기구, 표찰제작이라든지, 구입비가 되겠습니다.
조직배양실은 감자, 딸기 조직배양에 따른, 배지재료 구입비와 그리고 약초포장운영에 따른 운영비 그리고 꽃 육묘장 운영은 계절별로 시가지 꽃묘를 저희들이 현재 생산, 공급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따른 운영비가 1,790만 원이 되겠습니다.
내용들은 종자나 상토, 정식조제상토 다음 페이지입니다.
그리고 퇴비, 농약, 화분 등을 구입하는데,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일시사역인부임은 1,694만 7,000원으로서, 전년도보다는 813만 원이 감액되어졌습니다.
사과 포장관리를 위해서 234만 원, 그리고 사과묘포장에 73만 8,000원을 활용하고, 다음 페이지입니다.
포도포장, 그리고 사과 지대별 적품종재배 시범포관리, 소득작목 예찰포, 궁도장 등, 저희들 시설이나 화훼육묘 관리에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일반보상금 3,824만 원은 3,074만 원이 증액이 되어졌습니다.
주요 증액 내용은 민간인 해외 여비가 되겠습니다.
금년도에 저희들이 사과 선진국 연수를 다녀온바 있습니다만, 이것을 내년도에 저희들 시범사업농가까지 확대를 해서, 농업인 20명을 이태리, 프랑스에 연수시키기 위한 비용이 되겠습니다.
1인당 300만 원의 비용을 50% 보조를 해서, 20명을 연수를 시키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수출사과 규격품 생산 농가교육을 3회 시키는데 450만 원, 다음 533페이지입니다.
사과발전협의회 참석자 보상 또 수출 지정농가 교육 등에 나머지 보상금을 활용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민간이전입니다.
민간이전은 5,478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782만 원이 증액되었습니다.
이것은 수출사과 착색봉지 지원에 따른 금액입니다.
이것은 내년도에는 400톤의 수출사과를 목표를 하다보니까 그에 따라서, 돈이 증액이 되어졌습니다.
다음 민간자본이전입니다.
민간자본이전은 1억 5,300만 원으로서 1,300만 원이 감이 되어졌는데, 주요 내용은 저수고 밀식과원 조성에 따라서 저희들 3,000만 원의 사업비로서 10헥타르 10개소, 그러니까 50% 보조를 해서 1억 5,000만 원, 그리고 동충하초 생산시범 농가에 냉·온방기 지원, 1개소해서 3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상, 농업기술센터 소관 예산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방금 농업기술센터 소장으로부터 농업기술센터 소관 사항별 설명을 들으시고, 의문 나는 사항이 있으시면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 임영선 위원,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서 대초에 농가일감갖기 사업으로 한 사업이 많습니다.
그러한 사업장에 컴퓨터를 1대 지원을 해서, 앞으로 홈페이지를 개설해서 인터넷 같은 것을 활용을 해서, 거기에서 판매 정보라든지, 이런 것도 구축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은 컴퓨터입니다.
그러면 515페이지, 자산취득비, 청소년 정보화 사랑방 컴퓨터 구입이 있습니다.
그것도 350만 원인데, 청소년 정보화 사랑방은 어디에 설치를 할 계획입니까?
거기에 하나 설치를 해서 왔다 갔다 하는, 저희 사무실에 들어오는 4-H회원들이 거기에서 자기들이 활용을 할 수 있도록 그렇게 할 계획입니다.
531페이지에 해외연수 3,000만 원 해 놓았는데, 개인이 150만 원을 부담을 해서 그렇게 한다고 그랬지요?
그래서 저희들이 군비로 해서 1,500만 원을 지원해서 현재 시범사업을 수행하는 농가들이 있습니다.
그 농가들이 제대로 배워와서, 제대로 사업을 했을 때, 효과가 높을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로서는 시범사업농가를 주 대상으로 해서 선발을 할 계획입니다.
그리하면서, 시범사업 난 것 중에서 읍·면은 안배를 하도록, 그렇게 조치하겠습니다.
그래서 그것을 가조도 복수박 재배를 많이 하고 하는데, 위천이라든지, 이렇게 다시하는 면에 1개소를 늘려서 옆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 좋겠느냐 해서 2개소를 했습니다.
보니까, 잘 되어 있던데요?
끝나지는 않았는데, 현재로서는 수출이 154톤 정도 이루어졌고, 금주에 60여 톤 더 수출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당초 저희들이 작년에 사과수출 120톤 계획에 187톤을 하고, 금년에 200톤 계획이지만 300톤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만, 목표 300톤까지는 이루어지기는 어렵다고 판단을 합니다.
왜냐 할 것 같으면, 작년도보다는 사과가격이 떨어져서 10킬로 상자 당, 작년가격보다 3,000원이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작년보다만큼은 조금 순조로운 편이 못되고 있습니다.
그래도 우리가 수출농업이 최고의 목표이고, 또 수출을 해 줌으로 해서, 국내가격을 안정을 시키는 역할을 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온 힘을 기울여 앞으로도 수출을, 계속 노력하고자 합니다.
왜냐하면 초창기에 냈던 사람의 경우에는 작년에 시중가격보다 분명히 쌌습니다.
그런데 그것은 반짝 가격이었고, 그 이후에는 사실상 수출가격이 더 나은 것으로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상 지금 현재 여러분 아시다시피, 과수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을 하다보니까, 수출 수매가격도 함께 하락을 해서 거기에 따른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517페이지, 재료비에 농기계 순회수리 교육 부품, 이렇게 해 놓았는데, 지금 산출기초에 보면 기종이 250종, 100종, 100종 이렇게 되어 있는데, 교육용으로 사 비치하는 것, 아니면 순회하면서 농민들 경운기나 이양기에 들어가는 부품을 절반가격이라도, 지금 운영을 어떻게 하는지 설명을 해 주세요?
이것은 2만 원을 초과할 것 같으면,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 돈을 농가에서 정산을 해 받고, 나머지는 현재 무상으로 해주는 부품대가 되겠습니다.
마을마다 주간행사계획에 보면, 어떤 면에 어떤 마을에 수리를 한다는 걸로, 주일마다 올라오는데, 부품을 사 가지고 어떤 사람 경운기에 어떻게 했다라는 내용이 있습니까?
그래서 당초에 화훼류를 선정을 해서 장미를 선정을 해서, 유리온실에 재배를 하였는데, 그것이 사실상 우리 관내에서 다른 꽃을 재배하는 농가는 있는데, 장미 재배하는 농가가 없다해서 여러 차례 이야기가 된 사항입니다.
그러면 이 안에 작물이 들어가서 우리 농민이 소득을 올릴 수가 있어야 되는데, 이것을 우리 농민이 보고 따라하려는 사람이 있어요?
그런데 군비를 들여서 농업기술센터 안에, 시설을 했으면 농민이 누가 보고 1동이라도 설치해서.
농민이 이것을 보고 도움을 못 받으면 할 필요가 없는 것 아닙니까?
그래서 감자 조직배양을 해서 거기에 순환온실로 바꾸고자 합니다.
없어도 되는 것 아닙니까?
그래서 사실상 장미재배에서는 아까 위원님께서도 말씀하신 바와 같이 기술보급이라든지, 파급에 효과가 적었기 때문에, 이것을 바꾸어서 제대로 순환온실로.
사실상 장미재배를 하고 하는 것은, 이러한 시설재배에서는 제일 고급 기술이 필요하고 제일 끝 단계입니다.
그래서 그런 것을 농업기술센터에서도, 농가에서는 하지 않지만, 보여주는 것도 좋지 않느냐 해서, 사실 그런 뜻에서 했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이라든지, 지적을 하시고 하기 때문에, 이번에 교체를 하려고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없다 아닙니까?
왜냐하면 유리온실은 미래의 제일 마지막의 온실입니다.
앞으로 언젠가는 그런 방향으로 많이 나가야 되는데, 아직까지 유리온실이 거창의 여건에서는 시기상조다, 이렇게는 이야기를 드릴 수가 있습니다.
제가 알기 때문에 이야기를 하지, 그러니까, 거창에는 이렇게 해서는 절대 앞으로 보급이 안됩니다.
보급될 수가 없어요? 그러니까 이것은 없는 것으로 해요? 없애야 됩니다.
우리 거창이 경남에서 사과가 생산이 60% 정도 되는데, 경상남도 명산물로 지정해 달라고, 진주 예술회관에서 할 때 지원도 하고 그랬는데, 이 돈을 잘 활용을 해서 진짜 밖에서 봤을 적에, 거창을 지원해 주고, 거창사과가 도 명산물이 될 수 있도록 해야 되는데, 그것이 잘 안 되는 것 같아요? 지금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2년의 세월이 걸리는데, 저희들이 군비 사업으로서, 여러번 의회에서 특히 또 밀어주시고 하는 바람에, 저희들이 현재 45헥타르 정도 조성이 되고 있고, 현재 추진중에 있습니다.
이것은 적어도 여러분 눈에 가시적으로 나타나려고 하면 수확기에 접어들어야 되고, 이것은 적어도 3∼4년 있어야 어느 정도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선 식재된 상태에서, 벌써 달라졌니 안 달라졌니 하는 판단은 좀 빠르지 않나, 저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거창사과가 언제부터 거창사과입니까?
좀 그런 것 안 느낍니까? 농업기술센터에서.
오래되고, 또 옛날 기존방식에 의하다보니까, 많이 뒤쳐졌던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그러한 것을 만회하고 새롭게 하기 위해서, 저희들이 이러한 사업을 하고, 또 열심히 해서 제대로 자리잡도록 해서, 거창사과가 달라지는 것을 보이도록 최대한 열심히 하도록 하겠습니다.
유리온실 관계가, 유리온실을 보급하기 위해서 설치한 것입니까?
그 안에 작물을 재배해서 농민들에게 파급이나 효과를 주기 위해서 한 것입니까?
저희들 현재 크기로서는 유리온실은 경제성은 있을 수 없다고 봅니다. 규모가 적기 때문에.
그래서 그 유리온실은 우선은 유리온실에 재배하는 그러한, 어떻게 재배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시설이 된 것으로 그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음에 515페이지, 여기에 양파비닐 자동정식기 구입이 있어요?
이것이 진짜 획기적인 기술개발인데, 우리 인력을 굉장히 크게 절감시킬수 있는 것이 되는데, 이것이 어느 회사에서 만들었으며 지금 내년도에 처음 보급이 되는 것인가 설명을 한 번 해 주세요?
그리고 거기에서 기술이전을 해서 생산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아직 저희들이 기계는 보지는 못했습니다만, 규격을, 양파모상을 규격화 시켜서, 가면서 이양기가 정식하듯이 양파를 심어주는 그런 기계가 되어 지는데, 이것이 되어지면 아마 노동력 절감에 획기적으로 기여하지 않겠느냐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이것이 아직 초창기가 되어 기계를 가져 오더라도, 기계에 대한 결함은 조금 있지 않겠느냐,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첫개발 기계가 되어.
그리고 저희현재 농업기술센터 내에서도.
그러면 숫나방이 그 냄새를 맡고, 몰려와서 그것을 포사를 해 주는 그런 형태이고, 숫 나방이 몰려오는 정도에 따라서 어떤 충이 많이 유행을 하겠다, 어떤 병이 많이 유행을 하겠다라는 것을 판단을 해주는 것입니다.
518페이지, 자산취득비에 보면 농민교육용 장비구입 LCD프로젝트 1,800만 원, 노트북 300만 원, 이렇게 되어 있는데, 514페이지에 보면, 농촌지도장비 구입비 액정비젼 1,500만 원, 이렇게 되어 있는데, 거기에 대해서 설명을 해 주세요? 같은 것 아닙니까?
그래서 이번에 교육용 장비로서 요즘은 정보화의 시대입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컴퓨터에 넣어 바로 화면에서 나와서 농민교육도 시킬 수 있도록, 그러한 장비를 구입하고자 이번에 요구를 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532페이지, 일반보상금 손판준 위원님이 지적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민간인 해외 여비, 농업인 사과 선진국 연수해서 3,000만 원해서 20명을 50% 지원한다고 했지요?
다녀와서 그 사람들이 교육한 성과라든지, 그런게 있습니까?
참고로, 농업인 학습단체 회원대회 할 때도, 그 합판을 전시하여 활용한바 있고, 그것은 계속 활용을 하고있습니다.
우리가 백 번 들은 것보다는 실제 한 번 가는 것이 어느 것보다도 교육효과가 탁월하리라고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현재 저희들이 사실상 이렇게 못하고 있을 때도 일부 앞선 농가에서는 벌써 사실상 자비로 해서 다녀온 분들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은 저희들이 이번에 거창사과를 바꾸기 위해서, 저수고 밀식과원을 현재하고 있는데, 그것의 발상지가 바로 이태리고 거기에서 현재 제일 앞서가고 있습니다.
그것을 직접 봄으로 해서 우리 거창사과에 접목을 시키자해서 하는 것인데, 이것은 아마 다소 여건이 어렵고 하더라도 이런 사업은 계속적으로 해야 되지 않겠느냐, 저는 그렇게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333페이지, 저수고 밀식과원 조성, 대상지는 선정이 되었습니까?
이번 12월말까지 신청을 받아서 선정을 할 계획입니다.
여러 사람 하실 분 있으면, 홍보를 많이 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예, 이문행 위원,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기획감사실장께 묻겠습니다.
504쪽에 보면, 관내, 관외 해서 여비가 국내여비가 다 책정이 되어 있고, 510쪽에 보면, 여기 또 국내여비해서 금년에 490만 원 정도가 증액이 되어 있습니다.
증액이 되어 있는데, 이 국내여비를 관내, 관외 다 쓰고, 또 국내여비로 해서 국고보조금이라 해서, 다시 쓸 수 있는 경위가 있습니까?
왜 이중으로 편성했느냐는 질문이신데.
이 사업을 지도 공무원 능력개발 사업에 국고를 보조해 주는 이유는 시·군의 여비 사항이 부족해, 지도사들이 각종 연구회에 편성이 되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시설채소 연구회, 사과 연구회 등 지도원들이 전국적으로 조직이 되어 있습니다.
그 연찬회라든지, 토론회라든지, 하는데, 지방여비를 주니까, 이것을 보내지도 않더라, 여비가 어려워서 그래서 거기에만 쓰라해서 여비를 국비로서 지원한 사항이 되겠습니다.
왜 별개냐 하면 이것은 저희들 국내여비가 관외 여비로서.
농촌노인들이 무슨 활동을 하는데, 지원해 줄 것입니까?
거기에 따른 제반 비용이 되어집니다.
사업장은 확정은 안되어 졌는데, 그것은 저희 농촌여성 일감갖기 사업장으로 지정된 곳을 중심으로, 거기에서 우선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부터 해서 책정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거기에 컴퓨터를 해서 4-H내에 회원들에게 활용을 하고자 합니다. 개인지원은 아닙니다.
남상도 마찬가지고, 이것이 도비 사업이 사실상 금년도에 끊김으로 해서, 저희들 포장개발을 위해서 이번에 군비지원을 하도록 그렇게 했습니다.
그것은 연계사업으로 해서 첫해 일감갖기 사업을 하고 나면, 다음해에는 포장지원을 해 주는 사업으로 연계사업으로 계속해 왔습니다.
어떻게 해서 웅양만 매년 해 줄 것입니까?
작년에 웅양 했다면서요?
그런데 포장개발 사업이 웅양만 빠져 있습니다.
지금 가조 대초마을이라든지, 남상하고는 기 지원된바 있습니다.
여기에 따른 각종 운영과 또 자기들 사업 등에, 제반 활용코자 그렇게 합니다.
507페이지, 농촌지도자들이 실질적으로 하는 일이 무엇입니까?
선도세력이었는데, 지금 현재로는 옛날보다는 조금 쇠퇴되어진 것은 사실입니다.
그것은 이제 후계 세대인 농업경영인들이 지도자회로 많이 참석을 못해서 그런데, 이것은 농촌의 구심점으로서 그리고 우리 농심을 이끌고 가는 제일 오래된 단체라고 이렇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것을 활성화시키고, 또 예전에는 지도자회에 따른 지원도 많았습니다만, 지금 현재 그러한 지원도 사실상 거의 많이 끊겨진 상태입니다.
그래서 지도자회 운영이 사실상 굉장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것을 널리 이해하여 주시고, 좀 지원해 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이런 것을 우리가 보상을 줘서 교육 참석시킬 이유도 지금 없다고 생각합니다.
옛날에 이 사람들이, 소장 말씀대로 농촌의 선구자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지금 솔직히 말해서 일이 안되고 있어요?
선구자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지도나 이런 것이 됩니까? 되지 않는다 아닙니까?
왜 이런 것을 굳이 안고 있을 이유가 어디에 있어요? 안 그래요?
522쪽에 국고보조금이 나가는 것이 참 많은데, 장소가 다 정해진 것입니까?
그리고 벼 생육재배 선도 실천 시범사업도 이것을 벼 직파재배 시범관계입니다.
이것은 직파를 원하는 곳을 해서 해마다 선정을 하는 그런 것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왜냐 하면 저희 진흥사업의 국비가 일괄적으로 해서, 배당을 하는 식으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저희들이 물론 신청을 하기는 하지만, 그런데 따라서, 이루어진 사항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사업장이 전체적으로 하나도 선정이 안 되어 있다는 것은, 저는 이해가 안 갑니다.
재해상습지 개선사업 시범, 이것은 남상 월평들이면 월평들, 어디어디 하겠다 계획이 서서.
기존 행정의 일반화되어진 사업하고는 다릅니다.
그래서 청에서 새로운 기술이라든지, 이런 것이 하나 되면, 거기서 예산정립을 해서 이것을 접목을 해 보라는 사업이 많습니다.
그러한 성격의 사업은, 미리 대상지 선정이 어려운 사항입니다.
이런 게 아마 그런 사항인 모양인데, 시범사업으로, 1개소씩 위에서 내려오니까 이렇게, 내려오니까 선정을 해서 사업을 할 것이 있고, 신청을 미리 받아서 대상자가 선정됨으로써, 신청하는 것이 있고, 그렇게 이해를 해 주십시오?
답습하는 것인데, 최소한도 우리가 어디 해야되겠다라는 계획정도는 서 있어야 된다고 본 위원은 생각합니다.
527쪽에 지금 관상조류가 지금 거창에서 하는데 있습니까?
산출기초도 없고, 어디 한다는 데도 없는데, 예산을 의결하고 나면 우리 입장은 그렇지 않은 것 아닙니까?
그러니까, 답변 좀 받아 놓았다고 해도 되는데, 선별해서 하겠다 충분하잖아요. 그렇게 해야 되요?
왜냐하면, 예를 들어서 한가지 예만 들겠습니다.
볏짚 암모니아 주입은 지금 현재 당초에 옛날 시범사업으로 수행했던 사항들입니다.
그런 것은 저희에게 내려오면 거기에서 연시를 해서, 농가에 와서 그것이 일반화되어 지고 나면 행정의 사업으로넘어갑니다.
지금 보면, 행정의 연동하우스 사업이 옛날에 저희들이 시범 사업을 했던 사항입니다.
그것이 국가 시책사업으로 채택이 되어 지면, 그 쪽으로 넘어가서 미리 선정을 받아 가지고, 몇 개 해서 되어지는데, 시범사업은 성격이 조금 다르다고 이해를 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그것은 말이 안 되는 소리입니다.
그런 사업도 있다, 좀 이해를 해 주시고 내년도부터는 그렇게 하겠습니다.
그런 것을 실질적으로 안 파악했다면 말이 안 되는 것이지요?
신청을 분명히 받아서 그 어떤 계획에 의해서 해야 되는데, 위원님들이 당연히 말씀을 하지, 아직도 그것이 안 된 모양인데, 그래서 이렇게 된 모양인데, 위에서 계획적으로 1개소씩 못을 박아 내려오니까, 앞에 것하고 신청을 같이 받는다는 내용인 것 같습니다.
더 이상 질의하실 위원, 안 계시면 질의 답변을 종결을 하겠습니다.
농업기술센터 소장,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들어가셔도 되겠습니다.
위원 여러분들께 상의 말씀 드리겠습니다.
지금 수도사업소 한 과 남았는데, 마치고 점심식사를 하도록 할까요? 점심식사 후에 하는 게 좋겠습니까?
그러면 휴식을 위해서 5분간 정회를 하겠습니다.
(12시18분 회의중지)
(12시25분 계속개의)
0 수도사업소
다음은 수도사업소장으로부터 수도사업소 소관, 예산안에 대한 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수도사업소장, 설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42페이지, 자체사업부터 설명해 주시고, 특별회계까지 일괄 설명을 하고 일괄질의를 듣는 것으로 그렇게 해 주십시오?
542페이지, 자체사업이 되겠습니다.
먼저 일반 운영비에 시설장비 유지비, 건설품질시험 장비 유지비에 100만 원 편성했습니다.
다음 재료비에서 간이 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소독약품 구입에 1,564만 8,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 일시사역인부임에 수도사업관련 일시사역인부임 고지서 전산요원이 되겠습니다.
689만 7,000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시험연구비에서 건설품질시험실 운영재료에 코아채취 비트구입에 500만 원, 압축관거 실린더 몰드에 70만 원, 총 570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간이 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수질 검사요원 채수변 구입에 815만 원, 그리고 기타 보상금에 분뇨수거 대행 교부금에 313만 1,000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민간이전에서 민간위탁금에 하수처리장 민간위탁운영비에 2억 8,200만 원이고, 전력비에 1억 2,600만 원 총 4억 800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가조 하수처리장 민간위탁에 운영비에 1억 2,300만 원, 다음 페이지가 되겠습니다.
전력비에 6,600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그에 관련되는 시설비로서 하수처리장 시설 수선비 거창가조 합쳐서 5,000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그리고 간이 상수도 자동 염소 투입기 설치를 24개소 5,280만 원을 편성했는데, 지금 저희들이 간이 상수도 염소소독 자체가 안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래서 이번 하반기에 시범적으로 두 군데 설치를 해 보니까 액체용 간이 염소 투입기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내년도 24개소는 읍·면별 2개소의 추천을 받아서 급수인구가 많은 곳을 중심으로 단계별로 시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보조사업에서 양여금 보조사업입니다.
거창하수종말 처리장 증설공사에 32억 9,200만 원입니다.
양여금이 24억이고, 군비가 8억 9,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분류식 하수관거 설치사업이 20억 9,200만 원입니다.
여기는 양여금이 14억 7,000이고 군비가 6억 2,200만 원입니다.
대상지는 거창읍 대동리 지구와 가조 마상리 지구가 해당이 되겠습니다.
다음 일반하수관거 사업에 5억 5,500만 원입니다.
여기는 양여금이 1억 6,000이고 군비가 3억 8,70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은 감리비에서 거창하수종말 처리장 증설공사 감리비 2억 원, 편성했습니다.
이것은 계속사업으로 하고 있는 중입니다.
거기에 관련되는 부대비 총 양여금 보조사업에 2,129만 1,000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자체사업에 시설비에서 2001년, 간이 상수도 개·보수 사업에 3억 원 편성했습니다.
대상지구는 지금 중기 정비 계획이 의회 감사지적사항으로 중기 정비 계획이 수립된 지구를 대상으로 하겠습니다.
그런데 지금 겨울 가뭄중에도 일부 대상지 지구가 수정이 되어야 할 그런 실정입니다.
다음은 기타회계 전입금으로서, 상수도 특별회계 전출금 3억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546페이지에 기타 차입금 상환 이자로서 국고보조사업에서 2,792만 원입니다.
하수관거 정비사업 2차 보전사업이 1,700만 원 국비이고, 군비가 1,000만 원 편성했습니다.
다음은 577페이지.
국고보조사업으로서 상수원 보호구역내 공동 퇴비장 건립에 1,980만원인데 이것은 거창사지가 해당이 되겠습니다.
국비가 594만 원 지원을 받고, 군비가 1,386만 원입니다.
다음은 자체사업에 재료비에서 상수도 소독용 액체염소구입이 650만 원, 상수도 정수처리 응집제 구입이 213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학술 용역비로서 상수도 요금 원가 상정 및 자산 재평가 공기업회계에 대비한 용역비가 되겠습니다.
2,000만 원입니다.
다음 상수도 누수 탐사 유수율 향상을 위한 용역비가 2억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시험연구비로서 정수장 실험실 운영이 680만 원이 되겠습니다.
다음 590페이지에 수질검사용 채수병 구입에 225만 원이고, 시설비로서 가조 정수장 시설비 보완공사로서 응집제 및 침전지 덮개에 3억 6,200만 원을 했는데, 지금 침전지 덮개를 금년도 하반기에 하고 있습니다.
침전지에 이웃과수원에서 약을 치면 과수원 약이 침전지에 날아오게 되겠습니다.
그래서 불가피하게 덮개를 덮어야 될 그런 실정입니다.
그래서 3억 6,200만 원 편성이 되어 있습니다.
유수율 향상 누수정비 사업에 2억 9,000만 원을 편성을 했습니다.
그리고 제수변 및 소화전 설치에 2,000만 원, 대동리 원관매설공사에 3,100만 원, 이것은 베어스 타운 있는 쪽에서 개봉쪽으로 올라가는 강변으로 개봉천으로 올라가는 라인에 매설이 안 되었기 때문에, 그 사업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제수변 및 소화전 수선에 4,500만 원, 공동지관 수선에 8,400만 원, 가조 정·취수장 보안 등 설치에 1,000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다음에 592페이지, 가조 정·취수장 자동화 광케이블 모뎀설치 공사에 9,000만 원을 편성했는데, 현재 자동화 시스템이 전기 통신줄을 이용해서 되어 있는데, 벼락을 맞고 하니까, 사실상 잘 안됩니다.
그래서 직원들이 켤 때마다 자동화가 안 되다보니까 취수장에 매일 켜로 갔다가 올라오고 이런 실정인데, 그래서 광케이블을 별도로 묻어야 자동화 기능이 되기 때문에, 9,000만원 편성했습니다.
거창 정수장에 여과사 보충하는데, 750만 원이고, 이하 상수도 신규 설치공사에 관련되는 사업은 지원을 예측한 사업입니다.
지원을 받아 가지고 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설치공사비 1억 7,300, 상수도 신규공사 계량기에 1,000만원, 상수도 신규공사 보호통에 2,700만 원, 592페이지입니다.
노후 및 시설불량 계량기 교체에 3,455만 6,000원입니다.
거기에 관련되는 부대비에 가조 정수장 공사비에 260만원, 누수정비공사에 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자산 및 물품 취득비에서 정수장 실험실 에어컨 구입에 350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지금 저희들이 간이 상수도 수질검사를 다 하다 보니까, 수질 시료를 떠다 놓으면 오래 있어야 됩니다.
여름철에 온도가 높으다 보니까 떠 놓은 시료 자체가 변하는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장비라든지, 그러한 문제 때문에 에어컨 구입은 불가피하게 350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그리고 복사기 구입에 350만 원, 팩스구입비 100만 원, 저희들이 사무실 안에 있는 것이 기간이 다 되어서 고장이 다 난 상태입니다.
기타 차입금 이자에 2억 8,000만 원이고, 원금에 5억 2,300만 원입니다.
나머지, 예비비에 4,100만 원 편성했습니다.
다음에 639페이지는 계속비 사업이 되겠습니다.
거창 하수종말처리장 증설사업에 67억 4,000만 원을 편성했습니다.
그 중에서 양여금이 338억 4,600이고, 당초보다 양여금은 16억 정도 증액 편성을 했습니다.
지금 저희 거창 하수 종말 처리장 실태가 '90년도에 설계를 해서 현재 유지를 하고 있는데, 시설 자체가 현재 것하고 비교했을 때, 10년 전의 노후시설입니다.
지금 시설자체가 반자동이라든지, 수동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유지관리에 문제가 많은 그런 실정입니다.
그래서 이번에 증설공사를 하면서, 환경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가지고 기존시설에 대한, 정비를 해 보자는 측면에서 지원을 좀 받아서 증액편성을 했습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방금 수도사업소장으로부터 수도사업소 소관, 사항별 설명을 들으시고, 의문나는 사항이 있으시면,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예, 임영선 위원, 질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벨트가 터졌다든지, 이런 사항인데, 만약에 내구연한에 관련되는 그런 시설이 하자가 있을 때는, 저희들이 시설보수를 해 주게끔, 그렇게 계약이 되어 있습니다.
지금 거창상수도가 생긴지가 75년도에 생겨서 25년이 경과했는데, 현재 저희들이 누수라든지, 고장나는 수선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대대적으로 누수탐사사업도 하고, 유지보수사업을 대대적으로 내년부터 하려고 하는 측면에서 했는데, 거기에 대한 경영수익측면에서 분석을 해보면, 이 만큼 투자를 하더라도, 저희들이 생산비 원가로 따지면 6억 이상의 경영수익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하는 사업인데, 우선 투자를 하기 위해서 일반회계 전출이 불가피한 그런 실정입니다.
544페이지, 양여금 보조사업 거창 하수종말처리장 증설공사, 지금 현재 거창 하수종말처리장 1일 몇 톤입니까?
실제 용량은 1만 500톤인데, 실제 하수처리 되는 것은 1만 7,000톤 정도 되고 있습니다.
그것이 안 맞는 것이 저희들 산화공법 구조가 공법상의 문제라 복잡하게 들어가는데, 산화구 자체가 지금 체류시간이 있습니다.
요즘 처리하는 구조물 자체가 체류시간이 24시간을 미생물이 체류하는 시간으로 되어 있는데, 저희들은 맨 처음 우리 나라에서 산화공법을 최초로 하다보니까, 36시간용으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그래서 사실적으로 핵심기능이 크기 때문에, 물이 좀 더 들어오더라도 처리하는데는 큰 문제가 없고, 또 앞으로 더 예측이 되기 때문에, 이번에 용량을 키우는 그런 상태입니다.
기채상환 그런 성격은 아닙니다.
작년에 계속사업으로 계약을 해서 5억인데, 올해 3억 쓰고 내년에 2억 쓴다는 그런 말입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예, 더 이상 질의가 없으시면, 질의를 종결하겠습니다.
수도사업소장, 수고하셨습니다.
자리로 돌아가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당초 예산에 대한 설명을 들었습니다.
본 예산에 대한 질문사항에 빠진 부분이 있으시면, 기획감사실장에게 질의를 하시기 바랍니다.
(「없습니다」하는 위원 있음)
예산결산 특별위원회 위원 여러분, 장시간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예산결산 특별위원회 제6차 회의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제7차 회의는 내일 오전 10시에 본 회의실에서 개의하게 되겠습니다.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2시40분 산회)
최영웅전현옥이현영
최용환임영선강신봉
이문행정순우조성제
오임수손판준
○위원아닌 출석의원 이 수 정
○전문위원
송 재 명
○출석공무원(6인)
부군수이상균
기획감사실장이채순
사회복지과장이신자
농업기술센터소장박기상
수도사업소장이홍기
의회사무과장허원도
○속기사
고 영 운